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gui
- 영어회화
- 특수대학원
- 직장인
- 4차산업
- 오픽
- 영어공부
- 동사
- 파이썬
- coding
- 딥러닝
- Ai
- 산업대학원
- opencv
- 대학원
- 머신러닝
- 코딩
- 영어
- 영어기초
- machinevision
- 프로그래밍
- 인공지능
- 석사
- ComputerVision
- 3dprinter
- C언어
- Python
- 초보영어
- 머신비전
- Vision
- Today
- Total
목록미래 전략과 기술 (435)
미래기술연구소
Flow WO3 container (Buyer supply) ▼ Belt feeder ▼ Feeding device ▼ Lamination system ▼ #1 Double Gate(수소와 질소 치환) ▼ Charging chamber ▼ Charging pusher ▼ Furnace (Two(2) tube type) ▼ Discharging chamber ▼ Cooling chamber ▼ H2 Inhale ▼ #2 Double Gate(수소와 질소 치환) ▼ Dumping System ▼ #3 Double Gate(질소와 대기 치환) ▼ Waiting Table System 개요Reduction furnace 는 수소 분위기 내에서 WO3 분말을 W 분말로 환원시키는데 사용합니다. WO3 + 3H2 ..

지금까지 리스트를 사용해보았는데 파이썬에서는 튜플이라는 자료형도 제공합니다. 튜플은 리스트처럼 요소를 일렬로 저장하지만, 안에 저장된 요소를 변경, 추가, 삭제를 할 수 없습니다. 간단하게 읽기 전용 리스트라고 할 수 있죠(이 부분은 'Unit 11 시퀀스 자료형 활용하기'에서 설명하겠습니다).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 )(괄호)로 묶어주면 튜플이 되며 각 값은 ,(콤마)로 구분해줍니다. 또는, 괄호로 묶지 않고 값만 콤마로 구분해도 튜플이 됩니다. 튜플 = (값, 값, 값) 튜플 = 값, 값, 값 tuple 은 immutable 이여서 수정 교체 삭제가 안됨 컬렉션으로서의 튜플은 의미가 없음 절대 변하지 않는 값을 트랙킹해야 할 이유가 없으면 거의 사용하지 않음 tuple unpacking 튜플의 값..

생산을 위한 기초정보 및 생산시스템 일반 생산에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 (1)생산의 정의 “생산이란 생산요소(투입물)를 유형⦁무형의 경제제(산출물)로 변환시킴으로서 효 용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2)생산성의 정의를 설명 할 수 있다. “생산성(productivity)이란 노동력 혹은 기계사용생산요소(투입물)를 유형⦁무형의 경제제(산출물)로 변환시킴으로서 효용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생산성 = 산출량/투입량 (3)생산성의 측정 생산성 측정은 단일의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부분생산성(partial productivity), 하나이상의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다요소생산성(multifactor productivity), 모든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총요소생산성(total productivity) 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은 ..
3. 텐서 플로우를 이용한 선형 회귀 모델 개발 앞에서 살펴본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머신 러닝 모델을 실제 프로그래밍 코드를 만들어서 학습을 시켜보자. 여러가지 언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텐서플로우를 기반으로 설명한다. 텐서 플로우 개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구글 클라우드의 데이타랩 (datalab)환경을 사용하기로 한다. 텐서플로우 환경을 설정하려면 파이썬 설치 및 연관된 수학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가 까다롭기 때문에,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파이썬 노트북 (Jupyter 노트북 : http://jupyter.org/ ) 이 패키징 된 도커 이미지를 사용하기로 한다. 파이썬 노트북은 일종의 위키나 연습장 같은 개념으로 연산등에 필..

지금까지 택시 거리와 택시비에 대한 문제를 가지고 머신 러닝에 대한 기본 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해서 머신 러닝이란 것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다시 정리해보자. 기본 개념은 데이타를 기반으로해서 어떤 가설 (공식)을 만들어 낸 다음, 그 가설에서 나온 값이 실제 측정값과의 차이(코스트 함수)가 최소한의 값을 가지도록 변수에 대한 값을 컴퓨터를 이용해서 찾은 후, 이 찾아진 값을 가지고 학습된 모델을 정의해서 예측을 수행 하는 것이다. 학습 단계 즉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실제 데이타를 수집하고, 이 수집된 데이타에서 어떤 특징(피쳐)를 가지고 예측을 할것인지 피쳐들을 정의한 다음에, 이 피쳐를 기반으로 예측을 한 가설을 정의하고, 이 가설을 기반으로 학습을 시킨다. 예측 단계 학습이 끝나면 모..
소결이란?:연속식 분말 소결로 제작:SINTERING FURNACE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소재를 고온의 로(爐)에 넣어 가열하면 입자끼리 결합하여 스스로 합금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통상적으로, 예열, 소결, 냉각의 과정을 순차적 통과하며 열처리가 이루어집니다. 메시 벨트 식 (최고온도 약 1150℃)과 푸셔 식 (최고온도 약 1300℃)을 사용 온도에 따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1.원리 소결의 구동력은 열역학적으로 시스템 전체의 표면에너지를 줄이는 것이다. 벌크에 비해 계면(interface)에는 잉여에너지(excess energy)가 있으므로 소결 중 표면에너지는 입자들이 치밀화, 조대화되는 과정에서 감소된다. 소결 공정상 변수에는 온도, 시간, 분위기, 소결 압력 등이 있다. ..

전기로(electric furnace)의 종류(저항로,아크로,유도로) 전열(電熱)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노. 금속정제에 널리 사용된다. 발열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저항로(抵抗爐)·아크로·유도로(誘導爐)로 나눈다.〈저항로〉 저항로에는 철크롬선·니크롬선 등의 전열선을 노(爐) 안에 시설하고, 이것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간접로, 탄소를 흑연으로 만드는 노와 같이 피가열물 자체에 전기를 흐르게 한 직접로가 있다. 간접로의 경우 노내 온도가 1,000 ℃ 이상 되는 노에서는 발열체(發熱體)로 탄화규소·캔탈(코발트·철·알루미늄·크롬의 합금)선을 사용한다.전원(電源)에는 3상 200 V 또는 단상(單相) 100 V가 사용되며, 소형인 것에서는 변압기로 20∼40 V로 낮추어서 급전(給電)하는 경우도 ..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는 병렬 데이터의 형태를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H/W 일종이다. UART는 일반적으로 EIA RS-232, RS-422, RS-485와 같은 통신 표준과 함께 사용한다. UART의 U는 범용을 가리키는데 이는 자료 형태나 전송 속도를 직접 구성할 수 있고 실제 전기 신호 수준과 방식(이를테면 차분 신호)이 일반적으로 UART 바깥의 특정한 드라이버 회로를 통해 관리를 받는다는 뜻이다. 통신 데이터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에 들어 있어 이것을 차례대로 읽어 직렬화 하여 통신한다. 최대 8비트가 기본 단위이다. UART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주변 기기의 일종으로 병렬 데이터를 직..
■ 소스 편집 Ctrl + x 행 삭제 Ctrl + c 행 복사 Ctrl +Shift + k 행 삭제 Ctrl + Enter 아래에 행 삽입 Ctrl + Shift + Enter 위에 행 삽입 Alt + Down 행을 아래로 이동 Alt + Up 행을 위로 이동 Shift + Alt + Down 위에 행 복사 추가 Shift + Alt + Up 아래에 행 복사 추가 Ctrl + d 다음 선택 찾기 Ctrl + k 마지막 선택 항목을 다음 찾기 항목으로 이동 Ctrl + u 마지막 커서 작업 실행 취소 Shift + Alt + i 현재 선택 항목을 모두 선택 Ctrl + F2 현재 단어의 모든 항목 선택 Ctrl + i 현재 행 선택 Ctrl + Alt + Down 커서를 아래에 추가 Ctrl + Alt ..
연산자 기능 문법 설명 + 덧셈 a + b 두 값을 더함 - 삘셈 a - b a에서 b를 뺌 * 곱셈 a * b 두 값을 곱함 / 나눗셈 a / b a에서 b를 나누며 결과는 실수 // 버림 나눗셈 ( floor division ) a // b a에서 b를 나누며 소수점 이하는 버림 % 나머지 a % b a 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함 ** 거듭제곱 a ** b a 를 b번 곱함 @ 행렬 곱셈 a @ b 행렬 a 와 b 를 곱함 + 양수 부호 + a a에 양수 부호를 붙임 - 음수 부호 - a a에 음수 부호를 붙임 += 덧셈 후 할당 a += b a와 b를 더한 후 결과를 a에 할당 -= 뺄셈 후 할당 a -= b a와 b를 뺀 후 결과를 a에 할당 *= 곱셈 후 할당 a *= b a와 b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