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픽
- Ai
- 파이썬
- 영어
- 머신러닝
- 파이썬gui
- 산업대학원
- 코딩
- 프로그래밍
- 딥러닝
- 초보영어
- ComputerVision
- 머신비전
- 동사
- 석사
- 3dprinter
- 영어기초
- 4차산업
- 직장인
- Python
- 대학원
- opencv
- 특수대학원
- 3d프린터
- 영어공부
- 인공지능
- machinevision
- Vision
- C언어
- coding
- Today
- Total
목록Foundation/주식 (5)
미래기술연구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0OLT/btqRptE5mUd/LniVMcym8hCTMsAtVeUR11/img.png)
주식 틱차트 조회요청 싱글데이터 / 멀티데이터 두 가지가 있음 1. Open API 조회 함수 입력값을 설정합니다. 종목코드 = 전문 조회할 종목코드 SetInputValue("종목코드" , "314130"); 틱범위 = 1:1틱, 3:3틱, 5:5틱, 10:10틱, 30:30틱 SetInputValue("틱범위" , "1"); 수정주가구분 = 0 or 1, 수신데이터 1:유상증자, 2:무상증자, 4:배당락, 8:액면분할, 16:액면병합, 32:기업합병, 64:감자, 256:권리락 SetInputValue("수정주가구분" , "1"); 2. Open API 조회 함수를 호출해서 전문을 서버로 전송합니다. CommRqData( "RQName" , "opt10079" , "0" , "화면번호"); 틱 단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0iZbD/btqRrQfa0cm/tZV9c7hwVUU3m0zPdzTuAk/img.png)
우측 상단에 정보 입력 종목코드 : 지놈앤컴퍼니 기준일자 : 12월24일 수정주가구분 : 0 은 과거 데이터, 1 은 현재 데이터 ( 1은 유증, 무증, 배당, 액면분할, 등등 주가가 변경된 가격 적용 ) ex) 삼성전자는 기존 250만원을 넘나드는 가격이었지만 액면분할을 통해 현재 7~8만원이 됨 '0'으로 조회시 250만원에서 현재 가치가 적용 된 3~400만원으로 조회 '1'으로 조회시 액면분할이 적용된 7~8만원으로 조회 1. Open API 조회 함수 입력값을 설정합니다. 종목코드 = 전문 조회할 종목코드 SetInputValue("종목코드" , "314130"); 기준일자 = YYYYMMDD (20160101 연도4자리, 월 2자리, 일 2자리 형식) SetInputValue("기준일자"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xNxs/btqARyPzhrO/PVJrcZTH5n6FnuSV5aiqk0/img.png)
주식 등 투자 재테크를 들어가며 기본이 되는 트레이딩 툴입니다 요즈음 MTS ("Mobile Trading System") 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HTS 는 상대적으로 많이 찾지 않는데요. 여러 툴을 쓰면서 공부하시기에 좋습니다 활용만 잘 하시면 MTS 보다 몇배의 perfomance 를 느끼게 되실겁니다 우선 첫번째로 사용하시는 거래소의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저는 한국투자증권을 사용하고 있어서, 한투 hts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한국투자증권 홈페이지 접속 2. 주식/ETF 카테고리 선택 3. HTS 설치 4. 전문가 버전, 입문자 버전 등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운로드 5. eFriend Pro 프로그램 설치 완료 6. 로그인 화면 7. 거래 인터페이스 앞으로는 메뉴얼 및 기능들을 소개하겠습니다..
PER - PER은 주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데 쉽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PER이 10인기업은 즉 주가가 10, 이익이 1이라는 의미로 10년을 현재 이익을 유지한다면 현재 주가만큼의 금액을 벌게 된다는 것입니다. 낮을수록 좋을것같으나, 낮은 PER은 그만한 이유가 있을 수 있고, 높은 PER은 그만큼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성장주식이기 떄문에 확답은 없습니다. PBR - 순자산을 의미하는 지표로써 (자산-부채=순자산) 이론적으로 이익을 계속 창출해내는 모든 기업은 평균 1이상이여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PBR이 1이하라는 것은 현재 기업의 순자산가치보다도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이익이 건실하거나, 미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