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머신러닝
- 영어공부
- 딥러닝
- 특수대학원
- ComputerVision
- C언어
- 직장인
- Ai
- 석사
- machinevision
- 파이썬gui
- 코딩
- coding
- 머신비전
- Python
- 영어
- 영어기초
- 동사
- 4차산업
- 3dprinter
- 인공지능
- opencv
- 초보영어
- Vision
- 오픽
- 대학원
- 3d프린터
- 산업대학원
- 파이썬
- 프로그래밍
- Today
- Total
목록Industry 4.0/Smart Factory (5)
미래기술연구소

생산을 위한 기초정보 및 생산시스템 일반 생산에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 (1)생산의 정의 “생산이란 생산요소(투입물)를 유형⦁무형의 경제제(산출물)로 변환시킴으로서 효 용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2)생산성의 정의를 설명 할 수 있다. “생산성(productivity)이란 노동력 혹은 기계사용생산요소(투입물)를 유형⦁무형의 경제제(산출물)로 변환시킴으로서 효용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생산성 = 산출량/투입량 (3)생산성의 측정 생산성 측정은 단일의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부분생산성(partial productivity), 하나이상의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다요소생산성(multifactor productivity), 모든 투입요소로 측정되는 총요소생산성(total productivity) 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은 ..

스마트팩토리란?▪2011년독일하노버산업박람회(Hannover Messe) 언급 ▪ “스마트팩토리는인더스트리4.0의핵심구성요소 (Smart factories constitute a key feature of Industrie 4.0, Kagermann et al., 2013, p. 19) ▪ “The Smart Factory is defined as a factory that contextaware assists people and machines in execution of their tasks.” (Lucke, Constantinescu, & Westkämper, 2008, p. 115) ▪ 이전부터수많은논문에서생산자동화시스템, 스마트팩토리, 자가개선공장(Self-Improving Factory), 스..
스마트팩토리란? 스마트팩토리 핵심구성요소 설비자동화 (Equipment Control & Communication) 물류자동화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제조실행시스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계획시스템 (Scheduling & Dispatching System) 공정제어시스템(Process Control System) 생산분석시스템 (Manufacturing Analysis System) 기술분석시스템 (Engineering Analysis System) 센서와RFID(Sensor & RFID) 가상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인공지능 & 스마트팩..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st9220&logNo=220761786248&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m%2F https://www.lsis.com/ko/product/view/P01218
■ 4차 산업혁명 그 첨단기술 범위의 한계가 아직은 애매해서 제어계측 또는 ICT 전문가 입장에서 독일의 Industrie 4.0 개념으로 제한해서 생각했다. 4차 산업혁명은 ICT 기술이 발전하면서 파생되는 산업진화이다. 즉, Industry 3.0 시대는 PLC, HMI/SCADA와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시기로, Industry 4.0은 IoT나 Big Data를 기반으로 지식과 경험이 반영되고 그리고 생산/소비자 등의 요구로 산업시스템이 최적화로 운용되는 지능화되는 시기로 생각한다. ■ 산업용 IIoT의 진화 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는 산업용으로만 적용한다. 즉 헬스케어나 홈오토메이션, 은행 결제, 광고 이벤트나 쇼핑센터에서의 온라인 구매 등에 활용되는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