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산업대학원
- 특수대학원
- 인공지능
- ComputerVision
- 3dprinter
- 머신러닝
- 3d프린터
- 동사
- 오픽
- 대학원
- 초보영어
- opencv
- 파이썬
- machinevision
- 문자열
- 영어
- 파이썬gui
- 프로그래밍
- GUI
- 코딩
- 직장인
- 딥러닝
- 석사
- C언어
- 4차산업
- Python
- coding
- Vision
- 영어공부
- 머신비전
- Today
- Total
목록Industry 4.0/3D Printer (7)
미래기술연구소
3D Printer 가동 시 갑자기 SD read error 이라고 오류창이 뜨면서 작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SD 카드를 복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SD 카드 리더기로 준비 ( 마이크로 SD카드도 동일 하게 준비 ) 1. 윈도우 + X 키를 눌러 실행(R) 창을 열어줍니다 2. 명령창에 cmd 를 입력하신 후 실행 3. " chkdsk d: /f " 를 입력 합니다 chkdsk : check disk 실행 명령어 d: : 디스크 위치 /f : disk 오류 해결 명령어 4. SD 카드의 오류 수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미지 파일을 모델링하여 3D Printer 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무료로 제공되는 https://inkscape.org/ko/ 에서 무료 이미지편집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주세요! ※ 본인 PC 운영체제에 맞춰서 다운로드 우선 이미지 파일을 준비합니다! 다운로드 한 잉크스케이프 ( inkscape ) 를 OPEN! 수정할 이미지 파일을 불러옵니다! 파일을 열어주면 이런 창이 뜨는데요! 확인! 준비한 Image 파일을 불러왔습니다! Image 파일에서 도면에 필요한 부분을 추출할 예정입니다! 1.이미지를 클릭해줍니다! 2.경로 - 비트맨 따라 그리기 ( 단축키 : Shift + Alt + B ) 확인! 작은 엑스창을 눌러 닫아줍니다. 처음 불러왔던 image 파일과는 모양이 바뀌었습니다 클릭..
Da vinci xyz printer의 취약점인 노즐에 fan cooling duct 를 제작 해보았습니다 다빈치 3D printer에는 출력물 cooling duct 가 따로 없기에 출력물이 rough 하게 출력이 되는데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3D Printer로 자체 제작하였습니다 우선 싱기버스( https://www.thingiverse.com ) 에서 stl. 파일을 다운받아 출력을 하였습니다.시간은 대략 30~40분 정도 소요되며,density 는 20% / 원료는 PLA 로 출력하였습니다. 출력이 완성된 모습 입니다!다른 각도에서 촬영.자! 그럼 팬을 직접 분해해보겠습니다.팬 분해 모습팬 고정부의 Frame 입니다. 이 공극 부분에 제작한 구조물을 넣을 예정입니다.꽉 채워지지는 않지만 이정도..
3D 프린터의 출력 방식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FDM ( Fused Deposition Modeling ) SLA ( Stereolithography ) SLS ( Selective Laser Sintering ) 이 중 "FDM" 출력 방식에 사용 되는게 필라멘트 입니다 "FDM"방식은 흔히 3D프린터를 떠올리시면 바로 생각나는 이미지 입니다 롤 단위로 구성되어있는 고체의 약 1.75mm 라인을 히팅블럭으로 Input , 노즐의 끝으로 output 됩니다 노즐의 크기에 따라서 output 의 굵기를 조절할수 있습니다 노즐을 통해 용융된 재료는 얇은 라인을 형성하게 되고, 이 라인들이 겹겹이 쌓여 층(Layer)을 이루고 3차원으로 출력을 하게 됩니다 사용자의 선호도와 출력물의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
지인에게 3D 프린터를 선물받았습니다. 모델은 대만의 프린터 기업 XYZprinting Da vinci 1.0A 라는 제품입니다 "다빈치 3D 프린터" 라고 유저들 사이에서는 중/상급자 용으로 유명합니다 보급형 3D 프린트에 비해, 고가의 장비 탓인지 구글링 , 유튜브 등등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Operating 에 꼭 필요한 부분들만 모아 블로깅 하였습니다 Load Filament ( 필라멘트 로드 ) Unload Filament ( 필라멘트 언로드 ) Home Axes ( 프린트 헤드 원위치 ) Jog Mode ( 조그 모드 ) Build Sample ( 샘플 프린팅 ) Settings ( 설정 ) Information ( 기기 정보 ) Statisics ( 통계 ) Sy..
1. 풀 2. 목공풀 3. 양면테이프 4.마스킹 테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