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머신비전
- 영어공부
- 인공지능
- 영어
- 영어회화
- coding
- 파이썬gui
- 초보영어
- 직장인
- 코딩
- opencv
- 딥러닝
- 대학원
- 프로그래밍
- 오픽
- 머신러닝
- 3dprinter
- Vision
- 석사
- machinevision
- ComputerVision
- 4차산업
- 동사
- 파이썬
- 영어기초
- Ai
- 특수대학원
- C언어
- 산업대학원
- Python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Python (30)
미래기술연구소
에러 SyntaxError: invalid syntax: { }의 짝이 맞지 않을 때, 키:값 형식에 맞지 않을 때, 키 문자열의 ' ' 짝이 맞지 않을 때, 각 키:값을 구분할 때 ,를 넣지 않아서 발생하는 구문 에러입니다. { }, ' ' 짝이 맞는지, 키:값 형식에 맞는지, ,를 빠뜨리지 않았는지 확인해주세요. 딕셔너리는 키를 먼저 지정하고 :(콜론)을 붙여서 값을 표현합니다. 특히 키에는 값을 하나만 지정할 수 있으며 이런 특성을 따서 키-값 쌍(key-value pair)이라 부릅니다(키-값은 1:1 대응).

변수(Variable)란? 어떠한 값이 할당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 변수이다 a = 1 이라는게 있다고 가정 해보자 수학에서는 =(등호) 기호는 양 변이 같다는 뜻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는 변수에 값을 할당(assignment)한다는 의미다. 수학에서 배운 대입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이다 변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변수명을 정할 때 지켜야 할 규칙 영어 대소문자, 숫자, _(언더 바) 로 구성이 가능하다. 시작을 숫자로 할 순 없다 대소문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파이썬의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Ex. for, if, while, and, or 등) 특수 문자(+, -, *, /, $, @, &, % 등)는 _(언더 바)를..
1. CSV 파일 CSV란 Comma-separated values의 약자로서 CSV 파일은 각 라인의 컬럼들이 콤마로 분리된 텍스트 파일 포맷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CSV 파일은 문자열을 콤마로 Split 하여 처리하면 되지만, 간혹 컬럼 데이타에 콤마가 있을 경우 이중인용부호로 감싸서 데이타 내의 콤마를 Escape하기 (예: "Lee, Alex") 때문에, 파이썬에 내장된 csv 모듈을 사용하여 .csv 파일을 처리하는 것이 좋다. 2. CSV 파일 읽기 CSV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먼저 파이썬에 기본 내장된 csv 모듈을 import 한다. 다음 .csv 파일을 오픈하고 파일객체를 csv.reader(파일객체) 에 넣으면 된다. csv.reader() 함수는 Iterator 타입인 reader..
문자열 함수 어퍼 리플레이스 포맷

딕셔너리란?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Key와 Value의 쌍 여러 개가 { }로 둘러싸여 있다. 각각의 요소는 Key : Value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쉼표(,)로 구분되어 있다. 딕셔너리 = {키1: 값1, 키2: 값2} ※ Key에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Value에는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파이썬은 영리하게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을 가지고 있다. 요즘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을 갖고 있는데, 이를 연관 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자료형을 딕셔너리(Dictionary)라고 하는데,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사전이라는 뜻이..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했던 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을 잘 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들 모두 값이 연속적(sequence)으로 이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 그림 11-1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처럼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을 시퀀스 자료형(sequence types)라고 부릅니다. ▼ 그림 11-2 시퀀스 자료형 이 시퀀스 자료형 중에서 list, tuple, range, str을 주로 사용하며 bytes, bytearray라는 자료형도 있습니다(bytes, bytearray는 여기서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47.3 bytes, bytearray 사용하기'를 참조해주세요). 이번 유닛에서는 시퀀스 자료형의 공통된 ..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 ](대괄호)로 묶어주면 리스트가 되며 각 값은 ,(콤마)로 구분해줍니다. 리스트 = [값, 값, 값] 빈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에 값 추가하기 리스트에 값을 추가하다보니 a = [ 1, 2, 3, 4, 5, 6, 7, 8, 9, 10 ] 이 행위를 100개 1000개 10000개 를 타이핑 하는건 사실 무리가 있다 그럴때 사용하는 range ( ) 함수! range( ) 함수 list(range(10)) 에서 그냥 10만 설정하면 10 바로 직전인 9까지 0의 자리부터 ~ 9 까지로 인식하게 된다 list(range(시작,끝)) list(range(5,12)) 는 12 바로 직전인 11까지 5 부터 ~ 12 까지 인식하게 된다 list(range(시작,끝,증가폭)) 증가폭을 양수..
my_int = 1 float(my_int) print(float(my_int)) 1.0 str(my_int) print(str(my_int)) 1 type(str(my_int)) print(type(str(my_int))) my_str = "coding" list(my_str) print(list(my_str)) ['c', 'o', 'd', 'i', 'n', 'g']
문자열 ' , ' 작은 따옴표 " , " 큰 따옴표 ''' , ''' 작은 따옴표 3개 """ , """ 큰 따옴표 3개 >>> hello = 'Hello, World!' >>> hello 'Hello, World!' >>> hello = "Hello, World!" >>> hello 'Hello, World!' >>> hello = '''Hello, World!''' >>> hello 'Hello, World!' >>> hello = """Hello, World!""" >>> hello 'Hello, World!' 여러 줄로 된 문자열(multiline string)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를 넣고 싶다면 문자열을 "(큰따옴표)로 묶어줍니다. >>> s = "Python isn't difficult..
참(True) , 거짓(False) 을 나타내는 Boolean 비교연산자 : 두 값의 관계를 판단 논리연산자 : 두 값읜 논릿값을 판단 if , while 구문을 작성할 때 비교 / 논리 연산자를 자주 사용 비교연산자 비교 결과가 맞으면 True 틀리면 False ex) >>> 10 == 10 True >>> 10 != 5 True >>> 'Python' == 'python' False 여기서 대소문자가 차이도 다른 문자열로 판단 is / is not is, 와 is not 은 객체(object) 를 비교 1(정수) 와 1.0(실수) 는 차이점이 있지만 값은 동일 따라서 '==' 로 비교해보면 True >>> 1 == 1.0 True 정수 객체와 실수 객체가 다르므로 " is 비교 연산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