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undation/수학

정수 상수 변수 실수

728x90
반응형

 정수는 수를 분류할때 나오는 개념입니다.

..., -3, -2, -1, 0, 1, 2, 3, ... 과 같이
갯수를 셀때 나오는 자연수와, 그것의 반대 부호인 수들과, 0을 합해 부르는 개념입니다.


상수는 반대말이 변수입니다.
식을 풀때 어떤 값을 가질지 모르는 문자들이 있는데
이 식에서 값이 변하여 대입되는 문자인 경우들이 있고
어떤 값인지는 모르겠지만 값이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변하는 경우가 변수이고,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수가 상수입니다.

이때 상수는 정수형태일 수도, 유리수 형태일수도, 무리수 형태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분상수는 값의 형태가 뭔지 모르나 변하지 않고 일정한 수로 적분상수라고 적는 것이므로
적분정수라고 적으면 그 수의 형태를 첫부분에 나열된 것으로 근거없이 제한하는 것이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값이 정수라고 판단할 합리적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적분정수 라는 말을 쓰지는 않습니다.)

변수는 그 값이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예를 들면 파이(3.141592654...)라든가, 기타 변하지 않는 값을 이야기 합니다. 
보통 define한 것들, 숫자, 문자열, enum 이 여기에 속합니다.

만약 원주율값을 원시 코드 여기저기서 사용한다고 할 때, 이 원주율값을 처음엔 3.14로 했는데 좀더 정교한 것이 필요하게 되어 3.1415까지로 늘리기로 했다면 소스를 여기 저기 뒤져서 3.14로 되어 있는 것을 모두 3.1415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예를 들어 PI라는 상수에 넣었다고 하면... 그냥 그 상수에 넣어준 값만 단순히 변경시켜 주면 간단히 해결이 됩니다.
즉, 아래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되겠지요.
#define PI 3.14

:
float area(float r)
{
:
x = PI * r * r;
:
}

변수를 선언하는 앞 부분에 const라고 한정을 해 주시면 이 역시 상수로 취급됩니다.
const float pi = 3.14;


실수는..소수점 아래 숫자가 있는 숫자(3.14 등)를 말합니다. 정수는 소수점 아래가 없는 수를 정수라고 이야기 합니다(-2.0,1,2 )

728x90
반응형

'Foundation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렬  (0) 2020.09.07
실수(real number)  (0) 2020.07.11
정수 integer  (0) 2020.07.11
통계학 개념, 자료의 종류, 자료의 요약  (0) 2020.06.05
확률 Probability  (0)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