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achinevision
- 영어기초
- 코딩
- 4차산업
- 머신러닝
- 오픽
- 동사
- C언어
- 산업대학원
- 영어
- 파이썬gui
- 석사
- 파이썬
- 초보영어
- opencv
- 영어공부
- 3d프린터
- 딥러닝
- 인공지능
- 직장인
- coding
- Python
- 머신비전
- Ai
- ComputerVision
- 대학원
- Vision
- 특수대학원
- 3dprinter
- 프로그래밍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역사 (1)
미래기술연구소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말기 1388년 (우왕 14) 음력 5월, 요동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이성계가 개경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다. 우왕은 서경에 머물면서 전국에서 5만 여명의 군사를 징발하고 압록강에 부교를 만들어, 최영은 팔도 도통사(八道 都統使), 조민수를 좌군 도통사(左軍 都統使), 이성계를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로 삼아 요동정벌군을 구성하였다. 이때, 우왕은 돌이킬수 없는 실수를 하게 되는데 그건 최영을 출정시키지 않는 것이였다. 그렇게 총사령관이 남은 채 정벌군이 떠났다 끝까지 4불가론을 고수하는 이성계에게 동원 가능한 모든 군사를 내어 준 채로 말이다. 요동출정은 본래 이성계의 본의와 소원은 아니지만 출정군은 압롱강 하류 ..
Foundation/한국사
2020. 2. 23.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