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achinevision
- 동사
- Python
- 석사
- 3d프린터
- Vision
- 머신비전
- 파이썬
- 딥러닝
- ComputerVision
- 특수대학원
- GUI
- 오픽
- 영어공부
- 산업대학원
- 초보영어
- 대학원
- 코딩
- 3dprinter
- 머신러닝
- 프로그래밍
- C언어
- opencv
- 인공지능
- 문자열
- coding
- 영어
- 4차산업
- 파이썬gui
- 직장인
Archives
- Today
- Total
미래기술연구소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s) 본문
728x90
반응형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s)은 복잡한 문자열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기법으로, 파이썬만의 고유 문법이 아니라 문자열을 처리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한다. 정규 표현식을 배우는 것은 파이썬을 배우는 것과는 또 다른 영역의 과제이다.
※ 정규 표현식은 줄여서 간단히 "정규식"이라고도 말한다.
정규 표현식은 왜 필요한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주어졌다고 가정해 보자.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가 있다. 이 텍스트에 포함된 모든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를 * 문자로 변경해 보자.
우선 정규식을 전혀 모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할 것이다.
전체 텍스트를 공백 문자로 나눈다(split).
나뉜 단어가 주민등록번호 형식인지 조사한다.
단어가 주민등록번호 형식이라면 뒷자리를 *로 변환한다.
나뉜 단어를 다시 조립한다.
이를 구현한 코드는 아마도 다음과 같을 것이다
반면에 정규식을 사용하면 다음처럼 훨씬 간편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아직 정규식 사용 방법을 배우지 않았으니 눈으로만 살펴보자.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면 이렇게 간단한 예제에서도 코드가 상당히 간결해진다. 만약 찾으려는 문자열 또는 바꾸어야 할 문자열의 규칙이 매우 복잡하다면 정규식의 효용은 더 커지게 된다.
이제부터 정규 표현식의 기초부터 심화 부분까지 차근차근 알아보자.
728x90
반응형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elif else (0) | 2020.09.08 |
---|---|
Lamda 함수 (0) | 2020.09.07 |
함수 (0) | 2020.09.07 |
Numpy _ 1 (0) | 2020.09.03 |
Python 변수 (Variables) (0) | 2020.09.03 |